미국 CNN방송이 야심차게 출시한 뉴스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 CNN+가 한 달 만에 문을 닫기로 했다. 21일(현지시간) CNBC방송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크리스 릭트 CNN 신임 최고경영자(CEO) 겸 사장은 사내 메모를 통해 "어려운 결정이었지만, CNN의 장기적 성공을 위해 올바른 결단"이라며 오는 30일 CNN+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날 결정은 CNN+가 지난달 29일 출범한 지 3주 만에 나온 것으로, 이달 말 종료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서비스 기간은 한 달에 불과하다. CNN은 새 뉴스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 수억 달러를 들여 폭스뉴스의 크리스 월러스와 NPR의 오디 코니시를 비롯한 유명 앵커 등 수백 명의 인재를 영입하고, 뉴욕 맨해튼에 사무실을 추가 임차한 것은 물론, 미 전역에 광고를 내보내며 대대적인 홍보를 해왔다. 앞으로 4년 동안 CNN+에만 10억 달러가 넘는 거액을 추가로 투자하고 500명을 신규 채용하겠다는 것이 CNN의 당초 구상이었다. 그러나 야심차게 출발한 CNN+의 하루 시청자 수는 1만 명도 채 안 될 정도로 반응이 차가웠다. CNN의 모회사 워너미디어와 디스커버리의 합병이 이달 초 완료된 것도 CN
국내 신문 열독률이 약 1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낸 '2021 신문잡지 이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 종이 신문을 읽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 13.2%에 그쳤다. 신문 열독률은 구독·유무료 여부, 장소 등과 상관없이 최근 일정 기간에 신문을 읽은 비율을 뜻한다. 열독률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16.3%), 강원(16.7%) 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반면 울산(9.9%), 충남(9.0%)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인쇄·출판 디자인 실시간 정보보기 남성(16.4%)이 열독률이 여성(10.0%)의 약 1.6배로 더 높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신문을 보는 비율도 높아 50∼59세가 19.4%인 반면, 19∼29세는 6.0%에 그쳤다. 직업군별로는 관리·경영·전문직의 열독률이 2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농·축·수산·광업 21.5%, 자영·판매업 20.2%, 사무직 15.2% 등의 순이었다. 신문 열독자들은 일주일 평균 4.0일 신문을 봤다. 읽는 시간은 평균 97분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신문을 읽는 방법으로는 '집에서 정기구독'이 69.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 및 학교에 비치된 신문을 읽었다'는 응답이…
조선시대 상업신문 역할을 한 조보(朝報)가 당시 국가권력(선조)에 의해 강제 폐간되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끈다. 13일 영천역사박물관에 따르면 이 박물관이 소장한 조보는 1577년(선조 10년) 8월 민간업자들이 의정부와 사헌부의 허가를 얻어 처음으로 발행했다. 당시 왕실이나 중앙정부의 소식을 활자를 이용해 발행해 매일 신속하게 전달한 최초의 민간신문인 셈이다. 손으로 쓴 필사(筆寫) 신문이 읽기가 어려웠던 것에 비하면 제호(題號)가 조보인 이 인쇄조보는 해서체로 인쇄돼 글자만 알면 쉽게 읽을 수 있어 인기가 높았다. 내용도 다양해 첫 면에는 왕실과 인사이동 소식, 2면에는 당시 행정부였던 육조(六曹) 소식을 실었다. 현재 신문의 사회면에 해당하는 면에는 고급 수입마차 금지령이나 구제역에 따른 국가사업 지장 등과 관련한 소식도 실렸다. 그러나 이 조보는 첫 발행 석 달만인 1577년 11월 "사사로이 역사를 만든다"는 이유로 선조에 의해 폐간됐다. 선조실록 등 기록에는 조보 발행 관련자 30명을 대역죄로 몰아 의금부에 가두고, 고문한 뒤 유배보냈다는 기록이 있다고 박물관 측은 전했다. 또 이 과정에서 양사(兩司·사간원과 사헌부) 관리들이 조보 관계자들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이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를 앞세워 언론사의 입점·퇴출을 자의적으로 결정하는 구조가 현재 국내 뉴스 유통 생태계의 가장 큰 문제라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지난 6일 국회 언론·미디어 제도개선 특별위원회(미디어특위) 공청회에서 송현주 한림대 미디어스쿨 교수는 "가장 심각하고 근본적인 문제는 포털이 제휴 언론사를 자의적인 기준으로 선택, 언론의 시장 경쟁을 관리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언론, 공론장도 결국 경쟁이다. 국가가 자유로운 경쟁이 가능한 구도를 만들어 줘야 한다"며 "그런 부분을 민영 사업자인 포털이 관리하도록 방치해 온 것이 그동안의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은 최근 연합뉴스 포털 퇴출 사태에 대해 "우리 사회의 공론장이 포털과 플랫폼에 잠식되고 통제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문제가 된 기사형 광고라고 하는 게 연합뉴스만의 문제도 아니다"라며 "연합뉴스에서 소명 요청을 했는데도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제평위가) 구체적 평가 내용을 공개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언론사의 기사가) 포털이나 플랫폼에 의해서 통제되는 상황에서 (제휴등급이) 강등된다
20년 넘게 서울 은평구 불광동을 지켜온 지역 서점 '불광문고'가 다음 달 5일 문을 닫는다. 불광문고는 17일 SNS를 통해 "정성 들여 만들어진 책을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보람으로 지내왔던 25년이었다"며 "안간힘을 쓰며 버텨보려고 했지만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점 측은 SNS에 "책 판매로는 임대료와 인건비를 감당하기 버거운 날들이 오래 지속됐다"며 "도서 유통시장은 온라인 서점으로 넘어간 지 오래됐고 오프라인 지역 서점은 온라인 서점보다 비싸게 책을 공급받고 있다"며 "이런 기형적인 도서 유통 구조와 대형 서점의 지점 확장으로 설 자리가 갈수록 좁아졌다"고 문을 닫는 이유를 설명했다. 수도권 전철 3·6호선 불광역 인근 자리에 1996년 문을 연 불광문고는 동네서점들이 연이어 영업을 끝내는 상황 속에서도 명맥을 이어왔다. 'IMF 위기'를 버텨내고 맞은 2000년대 초반에는 활기를 띠기도 했다. 직원 수가 22명으로 늘었고 2007년에는 마포구 망원동에 분점 '한강문고'를 냈다. 문학이나 외국어 부문뿐만 아니라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영역을 가리지 않고 250평 서가를 채웠고, 시기별·주제별로 매대를 꾸민 큐레이션으로 독자들을 끌어왔다. 동
韩国残疾人艺术家协会发行了《E美杂志》第20期,在创刊5周年之际,发行人方贵熙公开了创刊背景。 2015年《솟대문학 》支援中断,同年冬天停刊后,因对文字的消失感到遗憾,所以寻找民间支援,但由于对残疾人文学杂志不感兴趣,扩大为残疾人艺术专门杂志,2016年秋天,因三星指定委托事业,通过社会福利共同募捐会得到了支援,诞生了"E美杂志"。 从2018年开始,作为政府指定事业接受预算,制作了4本E美杂志和2本《向上评论》杂志,预算规模在指定事业中最低。 E美杂志是介绍文学、美术、音乐、大众艺术领域的残疾艺术人,介绍残疾人艺术政策提案和残疾人艺术相关信息的综合杂志,在看到残疾艺术人的采访后,媒体邀请其出演或应邀参加企业或团体的活动等出版5年来,起到了残疾人艺术大众化的作用。 元老诗人金初惠老师从头到尾都读完,并说出每个角落的感受:" 大家都是了不起的艺术家,每一张都值得读",准确地指出了为什么需要E美杂志。 在不同类型的残疾艺术人栏目中,介绍了全天候文人禹昌秀(脑性麻痹)、以《绿色》重生的网络漫画作家高娟秀(脊髓障碍)、只想成为歌手的李贤学(视觉障碍)、霹雳舞的希望之星金艺利(听障),并用画廊中刊登的"画视线的朴正画家"作品设计了封面,吸引了人们的视线。 正如在韩国国内备受冷落的向上文学于2016年春天从美国斯坦福大学图书馆购买1~100号后前往韩国研究残疾人文学一样,E美杂志作为残疾人艺
日本で大人気のパク・ソジュンさん主演ドラマ「梨泰院クラス」。原作はウェブトゥーンマンガ「梨泰院クラス」ですが、日本版の漫画ではタイトルが「六本木クラス」なのをご存知ですか。 今回は、日本版タイトルの謎を探してみました。 「六本木クラス」は2017年12月に配信がスタートされました。当時、日本では「梨泰院」という場所が一般的ではなかったそうです。「梨泰院」の外国人が多く、飲み場も多い特徴から日本での舞台は「六本木」がふさわしいのではないかとなりました。そして、タイトルが「六本木クラス」に決まったそうです。 「六本木クラス」の登場人物の名前もパク・セロイではなく、宮部新という名前が使われています。これも日本の読者が感情移入しやすいように日本名が起用されたそうです。 現在は、パク・ソジュン主演ドラマ「梨泰院クラス」が有名になり、ドラマからウェブトゥーン漫画を見つけると驚く人が多い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日本版の「梨泰院クラス」である「六本木クラス」が気になる方はぜひ読んでみてください。 [ Daily SNS Global Reporter Satsuki ]
성인 잡지 맥심(MAXIM) 편집장이 지난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국에서 맥심 하기 진짜 너무 힘들다"고 쓴 글이 SNS에서 회자되고 있다. 맥심 편집장은 "독자에게 전화가 왔다. 교보문고 가서 맥심 신간을 사려는데 진열대에 없어서 교보 직원에게 물어보니 계산대 밑에 숨겨둔 걸 꺼내주면서 ‘서점 안에서 돌아다니지 말라’고 했단다"고 썼다. 이유에 대해 "내막을 파악해보니 여초(여성이 많은 온오프라인 집단)에서 교보 본사에 좌표 찍고 항의 폭탄을 날린 것"이라며 "이유는 똑같다. ㅅ적 대상화(성적 대상화). 어쨌거나 앞으로 교보문고는 서점에서 진열대에서 맥심을 뺀다고 한 듯. 여러분 맥심이 교보문고에서 팔린 지 올해 20년째인데 이제 앞으로 교보에서 맥심을 찾아볼 수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교보문고는 맥심 6월호와 7월호를 서점내 진열대에서 뺐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SNS에서는 찬반 논쟁이 뜨겁다. 특히 SNS 사용자들은 "그분들이 또…" "문화 대혁명도 아니고 이게 뭐냐" "적당히 좀 하자. 좀 적당히" 등 반발이 거센 상황이다. 맥심이 교보문고 진열대에서 빠진 이유는 군대를 주제로한 맥심 6월호의 표지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맥심 6월호는
오토드래곤은 자사 서비스인 암호화폐 재정거래봇인 아비봇 플래티넘을 이용하여 코빗거래소를 이용해 거래할 경우 봇을 통한 거래 수수료를 85% 할인하는 파격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이벤트 참여 시 아비봇 플래티넘 이용자는 코빗 거래소의 기존 수수료인 0.2%(Taker 기준)에서 0.03%까지 거래 수수료 할인 혜택을 받게 되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 캐시 등 코빗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모든 코인에 적용된다. 아비봇 플래티넘은 기존의 단일 거래소를 이용하는 트레이딩 봇과는 다르게 두 개의 거래소 간의 시세의 차이를 이용하는 거래 방법으로 동일한 코인이 두 거래소에서 가격이 상이할 때 가격이 저렴한 거래소에서 코인을 매수하고 동시에 가격이 비싼 거래소에 동일한 코인을 매도해 차익을 수익화하는 방식이다. 1회 거래마다 매수/매도를 동시에 진행학기 떄문에 수수료가 저렴할수록 아비봇 플래티넘을 이용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더 크다는 점에서 아비봇 플래티넘 이용자들은 거래 수수료가 낮은 거래소를 선택하거나, 수수료 할인 쿠폰을 별도로 구매를 하기도 했다. 오토드래곤은 파격적으로 할인된 이번 이벤트의 수수료를 통해 봇 이용…
(재)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전남콘텐츠기업육성센터(이하 JCEP)가 2일부터 6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와 싱가포르에서 JCEP 글로벌 필드 투어링에 나서 약 1000만달러의 상담과 4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이번 ‘JCEP 글로벌 필드투어링’은 전남 콘텐츠 기업의 해외시장 판로개척 및 현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개최되었으며 전남지역 유망 콘텐츠 기업 11개사가 참가했다. 베트남 하노이 롯데호텔에서 개최 된 ‘JCEP K-Startup Business Meeting’에서는 VR/AR, 게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 분야의 바이어와 벤처 캐피털사들을 초청해 상담을 진행했다. 이번 상담회를 통해 참가기업들은 현지 바이어와 총 9건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진흥원은 전남 지역 콘텐츠 기업의 성공적 현지 진출과 투자 유치를 위해VSV 등 베트남 현지 스타트업 지원 기관과 4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IoT 기반 자가충전 위치추적기 개발기업,엑스오과 모바일 스탬프 투어 콘텐츠 보유기업,댓츠잇은 각각 100만달러, 60만달러에 해당하는 구매의향 계약을 긍정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번 행사는 4박 5일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