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 집을 산 20~30대가 평균 1억6천만원대 빚을 졌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현재 무주택인 20∼30대 중 향후 2년 내 집을 사겠다는 비율은 10명 중 1명 수준에 불과했다. 금융서비스·은행·대출 실시간 정보 모두보기 ◇ 20~30대 부채 평균 1억6천720만원…매달 80만원씩 17년 갚아야 신한은행이 5일 내놓은 '2022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 새 거주 주택 구매자 가운데 20∼30대의 부채액은 평균 1억6천720만원으로, 1년 전 조사(1억1천765만원) 때보다 4천955만원 올랐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9∼10월에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상대로 이메일 조사를 통해 보고서를 작성했다. 조사 결과 20∼30대가 최근 1년 새 주택을 구입할 당시 집값은 3억6천446만원으로, 1년 전 조사 때보다 3천352만원 더 비싸졌다. 보고서는 "20∼30대 구매 주택은 2020년보다 3천352만원 올랐는데 대출액은 그보다 더 많이 올랐다"며 "대출을 활용해 더 많은 구입 자금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1년 새 집을 산 20∼30대는 매월 평균 80만원을 부채 상환에 쓰고 있었다. 이는 조사 대상(20∼64세)
올해 들어 5대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월평균 2조원가량 줄었지만 인터넷은행 3개사의 대출은 월평균 9천억원 가까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의 3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 합계는 36조1천439억원으로 파악됐다. 작년 말 잔액보다 2조6천610억원, 7.9% 증가한 규모다. 금융서비스·은행·대출 실시간 정보 모두보기 작년에 가계대출 영업을 시작한 토스뱅크가 석달 새 1조8천373억원이나 늘렸고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에서 대출이 각각 7천200억원과 1천37억원 증가했다. 이는 금융당국이 제시한 올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 4~5%대에 비해 증가 속도가 빠른 편이며 올해 들어 가계대출 잔액이 축소되고 있는 5대 시중은행과 대조적이다. 지난 1분기에 5대 주요 시중은행은 가계대출 잔액이 작년 말보다 5조8천594억원 감소했다. 이처럼 인터넷은행의 가계대출이 증가한 것은 신생 토스뱅크의 시장 안착을 배려한 금융당국의 유연한 관리방침과 중·저신용자를 겨냥한 업계의 영업전략 결과로 보인다. 각 은행과 금융당국이 협의로 결정한 정확한 총량 목표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인터넷은행은 시중은행의 4~5%대보다는…
최근 금 시세가 오르면서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안전자산인 금에 투자하는 이른바 '금테크'가 인기다. 한국의 금테크와 차이가 있다면 골드바나 장신구 등 대량으로 사는 게 아니라 적은 금액으로 소량의 금을 사는 방식이다. 재테크·투자 실시간 정보 모두보기 인민일보는 29일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1g짜리 금 상품으로 알려진 이른바 '진더우더우'(金豆豆·황금콩)가 인기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이후 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금 관련 주문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80% 증가했다. 주문자의 나이대별로는 95년 이후 태어난 20대 중반이 105% 증가했고, 80년대생과 90년대생도 각각 72%와 80% 증가했다. 신문은 황금콩 모으기 열풍의 이유로 안전자산이라는 점을 꼽았다. 코로나19 상황이 계속되는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때문 등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황금콩 한 개의 가격이 400위안(약 7만6천 원) 수준으로 부담이 크지 않다는 점도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이유다. 인민일보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금을 산다고 하면 백화점 보석 매장에 있는 중년 여성이 떠올랐지만, 지금은 동전을 모으듯 매달 황금콩을 1∼2개씩 모으는 젊은
토스뱅크가 국내 은행 최초로 선보인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받은 이자가 출시 이틀 만에 66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18일 토스뱅크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날 오전 9시까지 토스뱅크 고객이 받아 간 이자 금액은 총 66억5천576만원이다. 금융서비스·은행·대출 실시간 정보 모두보기 고객 41만여 명이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를 이용했으며, 평균 이자 수령 금액은 약 1만6천200원이다. 토스뱅크는 16일부터 '토스뱅크 통장'을 보유한 고객에게 매일 한 번씩 즉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토스뱅크 통장을 보유한 이용자는 누구나 '지금 이자 받기' 버튼을 눌러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또 받은 이자를 언제든지 출금할 수도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고객 경험의 혁신'이 이뤄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다"며 "고객 중심의 금융으로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SNS일보 전유민 기자 ]
우리은행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잡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시행했던 전세대출 세 가지 규제를 모두 완화한다. 신한·하나은행도 이같은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은행권 전반이 전세자금 대출 문턱을 낮출지 주목된다. 금융서비스·은행·대출 실시간 정보 모두보기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오는 21일부터 임대차(전세)계약 갱신에 따른 전세자금 대출 한도를 기존 '임차보증금(전셋값) 증액 금액 범위 내'에서 '갱신 계약서상 임차보증금의 80% 이내'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첫 계약 당시 1억원이었던 전세보증금이 계약 갱신에 따라 1천만원 더 올랐다면 기존에는 1천만원만 빌릴 수 있었지만, 21일부터는 전체 임차보증금(1억1천만원)의 80%인 8천800만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전 보증금 1억원을 내기 위해 빌린 대출금이 남아있는 상태라면, 8천800만원에서 그만큼은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만 빌릴 수 있다. 계약 갱신 시 전세금이 오르지 않은 경우 기존에는 대출을 받을 수 없었지만, 이제는 80% 이내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전세대출 신청 기간도 축소하기 이전으로 되돌린다. 신규 전세 계약서상 잔금 지급일 또는 주민등록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L'année dernière, plus de 120 000 Coréens ont payé des impôts sur les bénéfices d'investissements dans des actions étrangères, soit plus de quatre fois plus qu'il y a deux ans. Selon le National Tax Service lundi 120 360 Coréens ont payé des impôts sur les bénéfices des actions étrangères en 2021. En 2019, seuls 28 742 Coréens ont payé de tels impôts. Les revenus des caisses nationales ont totalisé 774,4 milliards de wons, contre seulement 158 milliards de wons en 2019 (1 USD = 1 230 wons). Les actions de Tesla, qui étaient les actions étrangères les plus populaires parmi les investisseurs p
젊은이들의 자산 관리를 돕겠다며 정부가 설계한 청년희망적금 상품 가입 경쟁이 과열되면서, 길게는 약 3시간 동안 일부 은행의 모바일뱅킹 앱에서 접속 지연 현상까지 나타났다. 이처럼 가입 신청이 폭주하자, 정부도 예산 증액 등 후속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21일 은행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 출시 첫날인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신청 접수가 시작되자마자 KB국민은행 모바일뱅킹 앱 'KB스타뱅킹'에서 로그인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KB국민은행은 "전산 시스템 장애가 아니라 접속 지연"이라고 설명했지만, 거의 정오가 돼서야 원활한 접속이 이뤄졌다. 금융 서비스·상품 실시간 정보 모두보기 KB국민은행 관계자는 "당행(KB국민은행)의 금리 등이 상대적으로 높고 개인 고객 수도 많다 보니 청년희망적금 가입 신청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접속량이 크게 늘어 지연 현상이 발생했다"며 "전산 작업을 통해 복구했다"고 설명했다. NH농협은행 모바일뱅킹 앱의 '청년희망적금 가입' 메뉴 이용자도 오전 9시 30분 이후 한동안 접속에 어려움을 겪었다. 접속 장애는 1시간 안에 해결됐지만, 오전 내내 접속 속도 지연 현상은 이어져 신청자들이 불편을 호소했다. 이런
지난해 4억장이 넘는 화폐(지폐+주화, 장 단위로 통일)가 훼손 또는 오염돼 공식적으로 폐기 처리됐다. 한국은행이 4일 공개한 '손상화폐 폐기·교환 실적'에 따르면 작년 폐기된 손상화폐는 모두 4억352만장, 액면가로는 2조423억원어치에 달했다. 은행·금융상품 정보 모두보기 가로로 이으면 총 길이가 5만262㎞(지폐 4만8천919㎞+주화 1천343㎞)로 경부고속도로(416㎞)를 60차례 왕복할 수 있고, 쌓으면 에베레스트산(8천848m)의 15배에 이르는 높이(13만3천967m)다. 작년 폐기 화폐 규모는 2020년(6억4천256만장)과 비교해 1년 새 37.2%(2억3천904만장) 줄었다. 현금 외 지급수단 확산,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영향으로 지폐 환수가 특히 부진했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화폐 종류별로는 지폐(은행권) 3억4천419만장(액면가 2조366억원)과 주화(동전) 5천933만장(57억3천만원)이 폐기됐다. 지난해 손상 지폐 가운데 교환이 이뤄진 대표적 사례를 보면, 서울에 사는 조모 씨는 시장 화재로 탄 지폐 1억445만원을 정상 지폐로 바꿨고, 청주의 김모 씨는 모친이 땅속에 보관하다 습기로 썩은 지폐 4천275
중국판 '배달의 민족'인 메이퇀(美團) 앱을 켜고 스타벅스 가상 점포에 들어가 커피 한 잔을 고르고 결제 버튼을 누르니 익숙한 알리페이, 위챗페이와 함께 디지털 위안화(e-CNY)가 선택 가능한 결제 서비스 중 하나로 떴다. 커피값 36위안(6천800원)에 4위안(약 750원)의 배달료를 추가해 총 40위안을 디지털 위안화로 결제하자 주문이 접수됐다. 20여 분쯤 지나자 노란 점퍼를 입은 메이퇀 배달 기사가 현관문을 두르려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커피를 가져다줬다. 디지털 위안화를 처음으로 직접 써보니 중국이 진행 중인 세계 최초의 법정 디지털 화폐 실험이 이미 생활 깊숙한 곳에까지 파고들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 편의점부터 식당까지…올림픽 선수촌 곳곳에 디지털 위안 인프라 외국인인 기자가 디지털 위안화를 쓸 수 있게 된 것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 가입 문호를 넓혔기 때문이다. 전에는 원칙적으로 중국 국민만 실명 인증 절차를 거쳐 디지털 위안화 전자지갑을 만들 수 있었는데 베이징 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중국 휴대전화 번호만 있으면 거래 가능액이 가장 낮은 비실명 전자지갑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디지털 위안화 전자지갑은
BC카드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를 중심으로 기업이 제공하는 각종 할인 혜택을 활용하는 '베테크(Benefit+재테크)'가 주목받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BC카드는 고객의 소비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는 '#마이태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지난해 이용 실태를 분석해보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 '#마이태그'는 매월 고객의 결제 데이터를 분석해 자주 방문하거나 이용하는 업종에 대한 청구할인 등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고객 맞춤형 혜택 서비스다. 할인·이벤트·혜택 실시간 정보 모두보기 이 서비스 이용 고객은 2019년 대비 지난해 190% 급증했고 20~40대 고객이 전체의 84%를 차지했다. 이 서비스를 경험한 고객 중 78%는 2회 이상 반복 이용했다. 2019년에 비해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이 서비스와 관련해 모바일앱 및 온라인 가맹점에 대한 혜택 이용이 많았고 병원 및 약국 업종도 상위권에 올랐다. 지난해 이 서비스를 가장 잘 이용한 고객은 연간 68만9천200원의 할인을 받기도 했다. 김용일 BC카드 고객사본부장은 "디지털과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MZ세대를 중심으로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혜택을 활용하는 '베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