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유튜브 채널 ‘과학드림’ 캡처]](http://www.snsdailynews.com/data/photos/20211042/art_16349698767379_7c9383.jpg)
현재 전 세계적인 이슈인 기후변화와 환경 오염, 그리고 지구 온난화. 그런데 약 5,600만 년 전에도 지구 온난화가 있었다?
유튜브 채널 ‘과학드림’에서 최근 팔레오세 말부터 에오세 초까지, 약 20만 년이라는 시간 동안 지구를 뜨겁게 달군 ‘팔레오세-에오세 최대온난기’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했다.
유튜버는 “이 시기는 현재 지구온난화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어 기후 변화를 연구하는 많은 과학자의 주목들 받는 중이다”라고 운을 떼며 최대온난기가 왜 일어났고, 당시 생태계는 어떻게 변했으며 다시 냉각된 원인은 무엇인지 짚었다.
최대온난기 당시 지구의 평균 온도는 8°C가 높아졌으며 극지방 해수 온도는 무려 최대 20°C나 올랐다. 현재 남극해 해수의 평균 온도가 10°C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매우 높은 값이다.
이 사건의 원인으로 ‘메테인 하이드레이트’ 가설을 꼽는데, 신생대에 접어들며 온화해진 기후로 인해 극지의 얼음이 조금씩 녹았고, 그 속에 있던 온실기체 ‘메테인’이 대량으로 방출되었다는 것이다.
![[사진 = 유튜브 채널 ‘과학드림’ 캡처]](http://www.snsdailynews.com/data/photos/20211042/art_1634969878654_718c17.jpg)
유튜버는 이외에도 다양한 가설들을 소개했지만, 메테인 하이드레이트 가설이 현재 과학계에서는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며 이유야 어떻든 지구가 급격히 뜨거워진 것은 사실이라 전했다.
하지만 이러한 온난화는 지구에 의외의 결과를 가져왔다. 당시 남극의 평균 기온은 16°C, 겨울철 평균 기온은 11°C에 달하며 매우 온화한 기후를 가졌었다. 이로 인해 극지방들은 지금의 모습과는 달리 포유류, 영장류, 파충류, 식물 등이 폭발적으로 번식하는 지상 낙원 같은 모습이었다.
이를 두고 유튜버는 “현재는 인류의 삶을 위협하는 지구온난화가 수천만 년 전에는 인류 기원의 단초가 됐다는 사실이 정말 아이러니하지 않나요?”라며 전했다. 하지만 육지와 달리 해양 생태계는 생지옥이었다고 말하며 껍질을 만들어 생존하는 유공충 같은 생물들은 무려 35~50%나 멸종되었다고 덧붙였다. 전국 과학박물관 정보 모아보기
최대온난기가 다시 냉각되어 예전 모습을 되찾기까지의 가설 또한 흥미롭다. 아직까진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해 미스터리로 남아 있지만 유튜버는 그나마 가장 유력한 주장으로 손꼽히는 수생 양치식물 ‘아졸라’ 번식 가설을 소개하며 설명을 이어 나갔다.
해당 영상에는 ‘지구온난화를 가장 두려워하고, 피하고 싶은 건 인간뿐일 듯’, ‘지구 멸망이라는 말은 잘못되었다. 지구는 어떻게 든 회복하고 인류멸망이라는 말이 적절하다고 본다’ 등의 댓글이 달렸다.
[ SNS일보 신창우 기자 ]